Wednesday, May 12, 2010

Old in years but not out of steam

On Nov. 19, 1702, the citizens of Jeju Island threw a party for the elderly among them. There were 183 people in their 80s, 23 in their 90s and three that had reached the 100-year-old milestone. This is a passage found in a book on the people and geography of Jeju Island written by its governor, Lee Hyeong-sang, in 1704. It is also the first official record on the island’s centenarians that was written in a systematic way.


In another book, “Tamragyerokcho,” Governor Lee celebrated centenarians when he said: “In this country, a septuagenarian is already rare to find. And people say that octogenarians and nonagenarians bring blessings and fortune to the country. No doubt, the centenarian is very special.” This shows the author considered centenarians to be marvelous people who had reached the limit of the human lifespan.

As a matter of fac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that both East and West once used 100 years of age to symbolize “the limit of human life.” In the Book of Isaiah, there is a passage that says that those who die after reaching 100 will be children and those who die before then are doomed. And the “Myeongsim Bogam,” a book written to teach ethics to children in the 14th-century Joseon Dynasty (1392-1910), says: “Although there is no one who can live over 100 years of age, there are still people who draw up millenary plans,” implying that humans cannot live more than 100 years.

I think this passage should be revised because we are now living in a world where people worry about a “centenarian phenomenon.”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and improvements in our diet, the number of centenarians is increasing rapidly. According to the census carried out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5, the number of centenarians in Korea was 961, an increase of 3 percent over that in 2000. Peter Schwartz, a futurist, predicts that the human lifespan will one day extend to 140.

A while back, a centenarian oriental-medicine doctor, whose medical license was canceled while he was managing a medical clinic in Seoul, won a court case that saw his license renewed, overturning the lower court’s earlier decision to suspend his practice of oriental medicine in Seoul. It is really amazing that he not only continued to work until such a late age, but that he also had the energy to go through a legal battle to defend his medical license. Human beings who are middle-aged and in the prime of their lives, and feel discouraged about their impending retirement, should brace themselves and try to follow the lead of the energetic oriental-medicine doctor who has beat the odds and lived beyond 100 years of age.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백세인


조선 숙종 때인 1702년 11월 19일 제주목(濟州牧)에서 양로잔치가 열렸다. 80세 이상 남녀 노인 183명과 90세 이상 남녀 노인 23명 외에 100세 이상 남녀 노인 3명도 참석했다. 당시 제주 목사였던 이형상(李衡祥)이 1704년에 저술한 제주도 인문지리지 ‘남환박물지(南宦博物志)’에 남겨진 내용이다. 제주도 백세인(百歲人)에 관해 체계적으로 작성된 최초의 공식 기록이다.

이형상 목사는 ‘탐라계록초(耽羅啓錄抄)’란 저술에 사람 나이 ‘백세(百歲)’에 대한 소회를 남기기도 했다. “세상에서 70세 이상이면 이미 드문 나이다. 80, 90세 이상은 사람들이 나라에 복되고 길한 일이라고 일컫는다. 하물며 100세 이상이야 어찌 지극히 귀한 나이가 아니겠는가.” 백세인이 그야말로 인간 수명의 최대 한계까지 도달한 경이로운 존재였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100세란 나이가 과거 인류에게 ‘인간 삶의 한계’의 상징으로 비유된 건 동서(東西)가 다르지 않다. 구약성서는 ‘영원한 생명’을 빗대는 말로 ‘백세’를 거론한다. 이사야서의 ‘백세에 죽는 자가 아이겠고, 백세가 못 되어 죽는 자는 저주받은 것이리라’는 구절에 보인다. 명심보감(明心寶鑑)에도 백세가 언급된다. ‘인무백세인 왕작천년계(人無百歲人 枉作千年計)’란 대목이다. ‘백세를 사는 사람이 없건만 사람들이 헛되이 천년 계획을 세운다’는 뜻으로 사람이 100년을 살지 못함을 전제로 지은 말이다.

이 구절은 이제 고쳐 써야 할 듯싶다. ‘백세인 현상(centenarian phenomenon)’ 운운하는 세상이 됐기 때문이다. 의학의 발달과 식생활 개선으로 백세인 인구가 급증하는 추세다. 통계청의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국내의 만 100세 이상 인구도 961명으로 5년 전에 비해 3%가 늘었다. 미래학자 피터 슈워츠는 인간의 수명을 140세까지 내다보고 있다. 과거 인류가 상상하지 못했던 ‘초장수(超長壽)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서울에서 한의원을 운영하다가 지난해 면허정지 처분을 받았던 만 100세의 한의사가 그제 법원의 처분 취소 판결을 받아냈다. 그 나이가 되도록 일을 놓지 않았다는 사실도 놀랍거니와 계속 일하기 위한 자격증을 지키겠다며 송사(訟事)도 마다하지 않은 노익장(老益壯)이 감탄스럽다. 은퇴 후 삶이 막막해 주눅들어 있는 중장년층이라면 이 ‘100세 직업인’을 보며 다시금 마음을 다잡을 일이다.


김남중 논설위원

No comments:

Post a Comment

 

blogger templates | Make Money Online